민요와 한시의 거리 - 이옥의 「이언(俚諺)」을 중심으로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09-18 15:15
본문
Download : 민요와 한시의 거리 - 이옥의 「이언(俚諺)」을 중심으로.hwp
어려서부터 그렇게 교육받았으므로, 그렇게 행동하였던 것이다.
기생들이 한시로 지은 사랑노래는 매창의 경우 진솔한 편이고, 재상 김이양을 상대한 부용의 경우는 진솔하면서도 점잖은 편이다. 그들은 왜 그런 생각을 하게 되었으며, 그 성과는 어느 정도였는지, 이 글에서 밝혀보려고 한다. 기생 아닌 여성이 사랑노래를 많이 지은 경우는 허난설헌과 김상의당(김삼의당) 정도였는데, 그나마 허난설헌이 한강 서재에 가서 공부하는 남편 김성립을 그리워하며 지은 시 「기부강사독서(기부강사독서)」는 문집에 실리지도 못했다. 『홍길동전』에서 홍판서가 용꿈을 꾸고 귀한 아들을 얻기 위해서 부인이 있는 안방으로 들어갔는데, 부인이 정색하고 “상공이 체위 존중하시거늘 연소 경박자의 비루함을 행코저 하시니, 첩은 봉행치 아니하리로소이다”하고 손을 뿌리쳤다. 그 시가 민요는 아니었지만, 민요가 지녔던 그 체취를 당시 사대부들의 문자였던 한시로 전하기 위해 그 시인들은 많은 고심을 하였고, 어느 정도의 성과를 이뤘다. 이수광은 그 이유가 “유탕(유탕)에 가깝기 때문”이라고 『지봉유설』에서 설명(explanation)하였다. 기생들이 지었다는 시조가 노골적인 것에 비하면, 역시 한시라는 전달수단의 한계가 있기 때문인 듯하다. , 민요와 한시의 거리 - 이옥의 「이언(俚諺)」을 중심으로인문사회레포트 ,
설명
1. 사랑노래의 흐름
2. 이언(俚諺)이라는 タイトル(제목) 과 민요풍 한시의 흐름
3. 민요풍 시에 대한 이옥의 이해
4. 왜 남녀 사이의 정을 노래하였나
5. 한시와 민요의 거리
기생에게 지어준 사랑노래들이 농염하다면, 아내에게 지어준 사랑노래들은 점잖다. 이러한 시대 분위기 속에서 사랑노래는 …(To be continued )
조선 후기에 들어와 당대의 사회현실을 제대로 보려는 몇몇 시인들이 민요풍의 한시를 지었다. 민요적인 소재를 한자로 써야만 했던 까닭은 민요를 직접 들을 기회가 적었던 양반 사대부 또는 그 주변의 사람들을 독자로 상정하였기 때문이다. 그 시가 민요는 아니었지만, 민요가 지녔던 그 체취를 당시 사대부들의 문자였던 한시로 전하기 위해 그 시인들은 많은 고심을 하였고, 어느 정도의 성과를 이뤘다. 부부간의 실제생활도 점잖았겠지만, 남들에게 보이려고 글로 지어 남긴 경우는 더할 수 밖에 없었다. 그들은 왜 그런 생각을 하게 되었으며, 그 성과는 어느 정도였는지, 이 글에서 밝혀보려고 한다. 민요적인 소재를 한자로 써야만 했던 까닭은 민요를 직접 들을 기회가 적었던 양반 사대부 또는 그 주변의 사람들을 독자로 상정하였기 때문이다.레포트/인문사회
민요와 한시의 거리 - 이옥의 「이언(俚諺)」을 중심으로
,인문사회,레포트
순서
Download : 민요와 한시의 거리 - 이옥의 「이언(俚諺)」을 중심으로.hwp( 29 )
조선 후기에 들어와 당대의 사회현실을 제대로 보려는 몇몇 시인들이 민요풍의 한시를 지었다.
%E3%80%8D%EC%9D%84%20%EC%A4%91%EC%8B%AC%EC%9C%BC%EB%A1%9C_hwp_01.gif)
%E3%80%8D%EC%9D%84%20%EC%A4%91%EC%8B%AC%EC%9C%BC%EB%A1%9C_hwp_02.gif)
%E3%80%8D%EC%9D%84%20%EC%A4%91%EC%8B%AC%EC%9C%BC%EB%A1%9C_hwp_03.gif)
%E3%80%8D%EC%9D%84%20%EC%A4%91%EC%8B%AC%EC%9C%BC%EB%A1%9C_hwp_04.gif)
%E3%80%8D%EC%9D%84%20%EC%A4%91%EC%8B%AC%EC%9C%BC%EB%A1%9C_hwp_05.gif)
%E3%80%8D%EC%9D%84%20%EC%A4%91%EC%8B%AC%EC%9C%BC%EB%A1%9C_hwp_06.gif)
다.